重眀殿
RAC 와 TAC 의 개념 본문
RAC(Real Application Cluster)
-9i RAC
interconnet (Private network): OPS는 데이터를 받아올때 반드시 Storage를 이용해야 한다. RAC 9i 부터는 interconnet 기능을 이용하여 인스턴스간에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주고 받을수 있게 된다.
Public network : RAC 유지보수를 위해 접속하는 망
VIP network : 외부 사용자들이 접속하는 망,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망
-10g RAC
ASM 방식의 적용 : 9i 까지는 RAW device를 이용해서 storage를 구성하였으나 10g 부터는 ASM (Automatic Storage Management) 방식으로 storage를 구성한다.
-10g R2 RAC ASM 기반
RAW device로 Storage를 구성하면 각 인스턴스별로 ASM Instance 부분이 빠지게 된다
10g rac 까지는 OCR과 vote disk 를 ASM에 저장할수 없었기 때문에 별도의 RAW device를 구성해야 했다. (11g 부터는 개선되었다)
OCR : Oracle Cluester Repository, RAC구성의 전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디스크이다. RAC의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Oracle이 권장하는 OCR의 최소 크기는 100MB이다.
TAC (Tibero Active Cluster)는 확장성, 고가용성을 목적으로 제공하는 Tibero의 주요 기능이다. TAC 환경에서 실행 중인 모든 인스턴스는 공유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트랜잭션을 수행하며 공유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합성 유지를 위해 상호 통제하에 이뤄진다.
큰 업무를 작은 업무의 단위로 나누어 여러 노드 사이에 분산하여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러 시스템이 공유 디스크를 기반으로 데이터 파일을 공유한다. TAC 구성에 필요한 데이터 블록은 노드 간을 연결하는 고속 사설망을 통해 주고받음으로써 노드가 하나의 공유 캐시(shared cache)를 사용하는 것처럼 동작한다.
운영 중에 한 노드가 멈추더라도 동작 중인 다른 노드들이 서비스를 지속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투명하고 신속하게 처리된다.
다음은 TAC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결론 RAC와 TAC와 거의 상동하다 내부 기술적인 차이점은 존재 하겠지만
동적 기능면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다.
'Data 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베이스 에서 흔히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 (0) | 2017.04.17 |
---|---|
자바 랜덤 함수 (0) | 2017.03.30 |
오라클 랜덤데이터 생성 (0) | 2017.03.29 |
데이터베이스 성능 측정 자료 쿼리 (0) | 2017.03.15 |